1. 세례란.
하나님께서는 항상 우리와 함께 하시겠다는 '은혜의 언약'을 베푸셨습니다.
'나는 너희 하나님이 되고, 너희는 내 백성이 되리라'하는 언약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언약을 자기 백성에게 분명히 하시기 위해 구약시대에는 할례를 주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표시였습니다.
세례는 신약에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성례로서, 세례를 받는 것은 언약백성의 외적'표시'입니다.
세례는 더러운 것이 물로 씻기듯이, 그리스도의 피로 우리의 죄가 씻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리하면, 세례는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이 우리 것이 되는 은혜의 의식이고, 온 교회앞에서 세례받는 그가 그리스도인임ㅇ르 공적으로 인정하는 표입니다.
2. 자칫 오해하지 말아야 합니다.
세례를 받아서 구원되는 것이 아니라, 구원 받은 표로 세례를 받는 것입니다.
믿음으로 구원받지도 않았는데 세례 받았다고 해서 구원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3. 이 세례를 받는 조건은,
일단, 유형적(눈에 보이는) 교회의 일원이어야 하며,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의 고백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진실한 고백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4. 유아세례
유아세례의 시행에 대해서는 모든 교단이 일치를 하고 있지 않습니다.
유아세례를 인정하여 시행하는 교회(교단)도 있고, 시행하지 않는 교회(교단)도 있습니다.
성경은 유아세례를 금하는 내용은 없으며 가족이 모두 세례(구약에서는 할례)를 받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교회 역사는 유아세례를 시행하였습니다.
'아니, 자기 입으로 신앙을 고백하지 않았는데도 세례를 줄 수 있나요?'라고 걱정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유아에게는 영적 부모의 신앙고백을 통하여 동일한 언약 안에 있음을 인정하고 세례(유아세례)를 베풉니다.
구약에서 언약 백성들이 성인이 아니어도 유아일 때 할례를 받았듯이, 이들은 은혜언약 안에서 세례를 받는 것입니다.
믿음의 가정은 하나님의 언약에 근거해서 자녀들의 구원을 소망 가운데 믿으며 기꺼이 유아세례를 받도록 하며, 또한 그 아이가 말씀안에서 하나님의 백성답게 자라가도록 더욱 잘 가르치고 양육해야 할 것입니다.
5. 세례의 방식
'방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씻음'이 중요합니다.
세례라는 것은 문자적으로 헬라어 '밥티조', 즉 '씻다'는 의미입니다.
온몸이 물에 잠기건 물을 뿌리건간에, 세례를 통해 우리 죄가 씻겼다는 인식을 확실히 할 수 있으면 그것으로 충분할 것입니다.
6. 세례는 '표'라고 했습니다.
세례 자체에 효력이 있어서 그 사람이 구원받는 것이 아니므로 오해하지 말아야 합니다.
[특강소요리문답(황희상) 인용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