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스와이드(http://www.faxwide.com ) 같은 곳에 가입하시면 테스트용으로 500원을 주며
10페이지 정도는 무료로 보내실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몇 개 더 있습니다.
팩스기계 없이 인터넷으로 팩스를 송신/수신하는 서비스를 인터넷팩스, Web-To-Fax, 웹팩스 등으로 부릅니다. 여기서는 인터넷팩스로 부르겠습니다.
인터넷으로 팩스를 보내는 절차
우선 인터넷팩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싸이트에 가입을 해야 합니다.
인터넷팩스 업체는 검색해보시면 여러개가 있으며, 여기서는 팩스와이드(www.faxwide.com)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가입시 무료로 500을 주며 추천시마다 500원을 적립해줍니다.
500원이면 팩스 10페이지 또는 문자 25건을 보낼 수 있습니다.
팩스를 보내려면 받을사람의 팩스번호와 보내려는 내용이 필요하겠죠.
팩스번호는 그냥 전화번호 입력하면 되고 보낼 내용은 파일( Word(doc), Excel(xl), 한글(hwp), 훈민정음(gul), 그림파일(jpg, gif, bmp), PDF등)을 직접 지정하면 됩니다.
즉 보내려는 파일을 인터넷팩스 서버로 업로드하는 거죠.
서버에서 그 파일을 팩스 전송시에 사용하는 파일 포맷인 TIF 파일로 바꿉니다.
그런 후에 상대방 팩스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팩스를 보냅니다. 이런 회사들은 한번에 수천곳에 팩스를 보낼 수 있는 장비를 가지고 있고 이 장비들은 전화선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인터넷팩스라고 해서 전화선을 안거치는 것이 아닙니다. 한 달에 수천만원씩 전화비로 내고 있을겁니다.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에서 언제, 누구에게, 어떤 내용을, 몇 페이지 보냈고, 요금은 얼마가 나왔는지 표시가 됩니다.
같은 내용을 여러사람에게 한번에 보내려면(동보 전송) 받을 사람을 주소록에 등록한 뒤에 팩스보내기 메뉴에서 받을 사람을 주소록에서 불러오기로 지정하면 수 천명에게 1번에 보낼 수 있습니다.
이용 요금
대부분의 인터넷팩스 업체에서는 A4 1페이지에 50원(부가세 별도)을 받고 있습니다. 시내/시외 동일하게 페이지 단위로 요금을 받으며, 해외는 시간당 국가별 요금을 받습니다.
할인시간대가 있는 웹싸이트가 있고 없는 웹싸이트가 있습니다.
인터넷 팩스의 원리
위의 절차를 기술적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사용자가 받을 팩스번호와 보낼파일을 지정한 뒤에 보내기 버튼 클릭
보낼파일을 서버에 업로드
서버에서 보낼 파일을 TIF 파일로 변환
팩스서버에서 팩스번호로 전화를 건다.(팩스서버는 하나의 팩스기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팩스기계와 다른 것은 컴퓨터에 동작한다는 것과 한 번에 여러곳에 전화를 것 수 있다는 점입니다)
상대방 팩스기계가 전화를 받는다
팩스서버가 상대방 팩스에게 14400의 속도로 받을 수 있는지를 묻는다.(팩스 전송시에는 14400, 9600, 2400 의 속도가 사용되며 속도가 늦을수록 전송시간이 오래걸리고 그만큼 전화요금이 많이 나옵니다. 따라서 페이지가 아닌 소요시간으로 요금을 받는 웹싸이트에서는 똑같은 내용을 똑같은 곳으로 보내도, 전송 속도에 따라 요금이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실제 팩스기계로 보낼 때도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우리가 팩스기계로 보낼 때는 소요된 시간을 알기 어렵고, 요금이 바로 표시가 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모르고 있을 뿐입니다.)
상대방 팩스가 받을 수 있다고 응답하면 14400으로 전송속도가 결정되고, 받을 수 없다고 대답하면 한 단계 낮춰서 9600으로 받을 수 있는지 물어봅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두 팩스가 주고받을 수 있는 최고 속도가 결정되면 팩스를 보내기 시작합니다.
상대방 팩스가 다 받았다고 신호를 보내면 팩스서버에서는 그 팩스가 성공했다고 database에 기록합니다.
사용자는 전송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에서 전송이 성공했는지 확인을 합니다.
추가 설명
1페이지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은 보통 30~60초 정도걸립니다.
해외 전송이 가능한 싸이트들은 국내전송시에도 한국의 국가번호인 82를 입력해야 합니다.
시내/시외 요금이 다른 곳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업체는 먼저 돈을 내고 이용해야 합니다.
일반 웹싸이트나 프로그램에 팩스/문자 전송 기능을 붙일 수 있습니다.(해당 싸이트에서 제공하는 경우)
10페이지 정도는 무료로 보내실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몇 개 더 있습니다.
팩스기계 없이 인터넷으로 팩스를 송신/수신하는 서비스를 인터넷팩스, Web-To-Fax, 웹팩스 등으로 부릅니다. 여기서는 인터넷팩스로 부르겠습니다.
인터넷으로 팩스를 보내는 절차
우선 인터넷팩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싸이트에 가입을 해야 합니다.
인터넷팩스 업체는 검색해보시면 여러개가 있으며, 여기서는 팩스와이드(www.faxwide.com)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가입시 무료로 500을 주며 추천시마다 500원을 적립해줍니다.
500원이면 팩스 10페이지 또는 문자 25건을 보낼 수 있습니다.
팩스를 보내려면 받을사람의 팩스번호와 보내려는 내용이 필요하겠죠.
팩스번호는 그냥 전화번호 입력하면 되고 보낼 내용은 파일( Word(doc), Excel(xl), 한글(hwp), 훈민정음(gul), 그림파일(jpg, gif, bmp), PDF등)을 직접 지정하면 됩니다.
즉 보내려는 파일을 인터넷팩스 서버로 업로드하는 거죠.
서버에서 그 파일을 팩스 전송시에 사용하는 파일 포맷인 TIF 파일로 바꿉니다.
그런 후에 상대방 팩스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팩스를 보냅니다. 이런 회사들은 한번에 수천곳에 팩스를 보낼 수 있는 장비를 가지고 있고 이 장비들은 전화선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인터넷팩스라고 해서 전화선을 안거치는 것이 아닙니다. 한 달에 수천만원씩 전화비로 내고 있을겁니다.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에서 언제, 누구에게, 어떤 내용을, 몇 페이지 보냈고, 요금은 얼마가 나왔는지 표시가 됩니다.
같은 내용을 여러사람에게 한번에 보내려면(동보 전송) 받을 사람을 주소록에 등록한 뒤에 팩스보내기 메뉴에서 받을 사람을 주소록에서 불러오기로 지정하면 수 천명에게 1번에 보낼 수 있습니다.
이용 요금
대부분의 인터넷팩스 업체에서는 A4 1페이지에 50원(부가세 별도)을 받고 있습니다. 시내/시외 동일하게 페이지 단위로 요금을 받으며, 해외는 시간당 국가별 요금을 받습니다.
할인시간대가 있는 웹싸이트가 있고 없는 웹싸이트가 있습니다.
인터넷 팩스의 원리
위의 절차를 기술적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사용자가 받을 팩스번호와 보낼파일을 지정한 뒤에 보내기 버튼 클릭
보낼파일을 서버에 업로드
서버에서 보낼 파일을 TIF 파일로 변환
팩스서버에서 팩스번호로 전화를 건다.(팩스서버는 하나의 팩스기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팩스기계와 다른 것은 컴퓨터에 동작한다는 것과 한 번에 여러곳에 전화를 것 수 있다는 점입니다)
상대방 팩스기계가 전화를 받는다
팩스서버가 상대방 팩스에게 14400의 속도로 받을 수 있는지를 묻는다.(팩스 전송시에는 14400, 9600, 2400 의 속도가 사용되며 속도가 늦을수록 전송시간이 오래걸리고 그만큼 전화요금이 많이 나옵니다. 따라서 페이지가 아닌 소요시간으로 요금을 받는 웹싸이트에서는 똑같은 내용을 똑같은 곳으로 보내도, 전송 속도에 따라 요금이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실제 팩스기계로 보낼 때도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우리가 팩스기계로 보낼 때는 소요된 시간을 알기 어렵고, 요금이 바로 표시가 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모르고 있을 뿐입니다.)
상대방 팩스가 받을 수 있다고 응답하면 14400으로 전송속도가 결정되고, 받을 수 없다고 대답하면 한 단계 낮춰서 9600으로 받을 수 있는지 물어봅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두 팩스가 주고받을 수 있는 최고 속도가 결정되면 팩스를 보내기 시작합니다.
상대방 팩스가 다 받았다고 신호를 보내면 팩스서버에서는 그 팩스가 성공했다고 database에 기록합니다.
사용자는 전송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에서 전송이 성공했는지 확인을 합니다.
추가 설명
1페이지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은 보통 30~60초 정도걸립니다.
해외 전송이 가능한 싸이트들은 국내전송시에도 한국의 국가번호인 82를 입력해야 합니다.
시내/시외 요금이 다른 곳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업체는 먼저 돈을 내고 이용해야 합니다.
일반 웹싸이트나 프로그램에 팩스/문자 전송 기능을 붙일 수 있습니다.(해당 싸이트에서 제공하는 경우)